Happy Holiness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25) - 오하이오가 아니고 아이오와 본문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

내 인생의 터닝포인트(25) - 오하이오가 아니고 아이오와

Happy Jin 2020. 12. 2. 02:10
728x90
반응형

스물다섯 번째 이야기  오하이오가 아니고 아이오와

 

에임스반석교회 청빙이 확정되고 집에 돌아와서, 다음날인 월요일 아침에 부모님을 비롯한 지인들에게 소식을 알렸다. 멘토 목사님께 이메일로 연락을 드렸다. 뉴저지 교회에서 떠나야 한다는 것이 사실로 정해지고 새로운 교회를 찾을 때까지 계속 담임목사 청빙에 지원할 때마다 수차례에 걸쳐서 멘토 목사님은 한 번도 거절하지 않으시고 추천서를 써 주셨다.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마다 죄송스럽고 부끄럽기까지 했지만, 나는 계속 목사님께 추천서를 부탁드렸다. 끝까지 격려하시고 추천을 해 주셨던 목사님께 너무나 감사했기에, 다른 누구보다 먼저 연락을 드렸다. 목사님께 소식을 전하는 이메일을 드리면서 나는 확신했다. 분명히 목사님은 이메일로 답장하지 않으시고 전화를 하실 것이라는 확신이었다. 그리고 저녁 무렵에 전화벨이 울렸다. 

 

청빙 된 것을 축하한다고 말씀하신 목사님은 노트가 준비되었냐고 하셨다. 나는 이미 준비하고 있었다. 목사님께서는 담임목사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태도를 거의 한 시간 동안 말씀하셨다. 나는 열심히 받아 적었다. 목사님과 전화 통화가 끝난 후에, 나는 다음날 새생명비전교회의 새벽예배 때 설교를 하시면서, 나의 소식을 전하실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예상대로 다음 날 새생명비전교회 새벽예배 때 목사님은 이진영 목사가 오하이오에 있는 교회에 담임목사로 청빙 되었다.”라고.”  말씀하셨다. 전날 저녁에 한 시간이 넘게 아이오와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갑자기 등장한 오하이오 때문에 나는 많이 웃었다. 그날 온종일 LA의 교우들로부터 축하 메시지를 받았다. “목사님, 오하이오에 있는 교회 담임목사 청빙 되신 것 축하드려요.” 나는 오하이오가 아니고 아이오와입니다.”라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한국에서 탄핵 이후 대통령 선거가 있을 때, 여론 조사 때문에 문제가 된 일이 있었다. 그때 문제를 제기했던 분이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의 통계학 교수님이었다. 마침 JTBC 뉴스에서 교수님과 인터뷰를 했다. 뉴스 앵커였던 손석희 씨가 교수님을 소개하는데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교수라고 소개했다. 그리고 앵커가 자신이 잘못 전한 것을 알았는지, 아이오와 주립대학교라고 수정해서 소개했다. 그때 교수님은 다들 그렇게 말합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아이오와에 오기 전까지 아이오와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도 없다. 사람들이 아이오와, 오하이오, 아이다호를 헷갈리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 같다. 사실 아이오와에 대해서 오래전에 알 수 있었던 기회가 있었다. 바로 조지 워싱턴 커버라는 사람 때문이다. 그가 공부했던 학교가 에임스에 있는 ISU(아이오와 주립대학)이다. 조지 워싱턴 커버의 전기인 땅콩 박사는 대학 시절에 은혜를 받으며 읽었던 책이다. 그런데 책에 담긴 지명 등에 크게 관심이 없었기에, 아이오와를 먼저 알 기회를 놓쳤다. 오하이오(Ohio)는 시온이가 대학을 클리블랜드(Cleveland)에서 다니고 있었기 때문에 미리 알 수 있었다. 아이다호(Idaho) 1991년에 동생들과 캐나다에 갔다가 로드 트립을 하면서, 워싱턴주를 지나서 아이다호를 거쳐서 캐나다로 간 적이 있어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아이오와는 청빙 지원을 하면서 처음 알게 된 곳이다. 에임스에서 사역을 하면서, 교단 안에 있는 한인 목사님들과 교류할 기회가 있었다. CRC 교단 가입을 위한 KIM 프로그램에 갔을 때도, 아이오와에서 왔다고 했더니, 아이오와를 처음 듣는 분들도 생각보다 많았다.

 

낯선 곳으로 가게 되었다. 설렘도 있었지만, 걱정도 되었다. 어떤 곳일까 사람들은 어떨까 많이 궁금했다. LA에서 살다가 동부 뉴저지로 갔을 때, 사람들이 너무 달라서 놀랐었다. 앞의 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따뜻하고 여유가 있고 감정적인 서부 사람들보다 동부 사람들은 차갑고 바쁘고 이성적인 사람들이었다. 서부에서는 길에 지나다니면 “Hi!” 하고 인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는데, 동부 사람들은 인사하면 째려본다. 같은 한국 사람인데도 다르다. 사람이 사는 환경에 따라서 성향도 너무 다르다는 것을 경험했기에, 중부로 가면 과연 어떤 사람들이 있을지 살짝 걱정도 되었다.

 

2016 8 1일에 에임스에 도착했다. 뉴저지 스토리지에 있던 짐들도 에임스로 왔고, 시온이 집에 있던 살림들도 에임스로 왔다. 이삿짐 트럭이 두 대나 온 셈이다. 어쩌다 보니 2016 6월부터 시작해서 에임스에 정착한 8월까지, 우리 가족은 10,000마일이 넘는 거리를 운전하면서 동부에서 중부를 돌아다녔다. 시온이의 일정 때문이기도 했고, 약속된 모임 등을 다니기도 했는데, 거의 모든 지역을 차로 다녔다. 메인(Maine), 뉴햄프셔(New Hampshire), 매사추세츠, 코네티컷, 뉴욕, 뉴저지, 메릴랜드, D.C., 버지니아, 펜실바니아, 오하이오, 인디애나, 일리노이, 아이오와까지 일 때문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마 정착이 빨랐으면 그렇게 다닐 수 있었을까 생각될 정도로 오랜 시간을 운전하며 다녔다. 그리고 에임스에 정착이 되었다.

 

반석교회의 청빙위원회에 우리가 살 집을 구해달라고 부탁했다. 에임스는 모든 아파트의 계약이 8 1일에 시작하고 7 31일에 끝난다. 7 10일에 청빙이 결정되었으니 남은 기간 이삿짐을 꾸리고 약속된 모임 등을 다니려면 우리가 직접 집을 구하는 것은 어려웠다. 우리는 방 두 개짜리 아파트면 괜찮을 것 같아서 교회에 아파트를 구해달라고 부탁했고, 마침 오래된 아파트이긴 하지만 비교적 싼 렌트비의 아파트가 구해졌고, 아내와 나는 에임스에 들어왔다.

 

장을 보기 위해 마트에 갔다. 처음으로 아이오와 사람을 만나게 되는 일이었다. 95% 이상이 백인이라는 말을 들었는데, 역시 백인들이 많았다. 그런데 캐쉬어로 일하는 분이 나에게 말을 걸었다. 미국에 와서 처음 겪는 일이었다. 계산만. 해 주고 산 물건을 봉지에 넣어 주면 그것으로 더 이상의 소통이 필요하지 않은 캐쉬어와 고객의 관계라고 생각했는데, “넌 어디서 왔니?”라는 물음으로 시작해서 가족에 대해서 직업에 관해서 물어본다. 마트에서 모르는 미국 사람과 대화를 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 했다. 더 놀라운 것은 직업을 물어보기에, “난 목사야라고 답했더니 금세 눈빛이 달라진다. 존경스럽다는 눈빛으로 어떤 교회에서 일하느냐고 묻는다. 처음 겪는 일이라 당황했지만, 기분이 좋았다. 따뜻한 동네라는 생각이 들었다. 같은 일들은 지금까지도 경험하고 있다. 물론 2020년 초부터 코로나 때문에 사람과 대화할 기회는 많이 줄었지만, 그래도 가끔 인사를 하는 사람들은 대화가 짧지 않다. 내가 목사라고 대답하면, 나에게 너는 그리스도를 너의 구주로 믿고 있니?”라고 묻는 사람도 있다. 

 

미국 사람들과의 대화의 기회를 가지면서 생각한 것이 있다. 중학교 때 영어로 인사말을 배울 때, “How are you?” “I’m fine, thank you. And you?”라고 했던 기억이다. 그런데 분명히 “And you?”라고 물었으면 대답을 기다려야 하는데, 보통 상대방이 대답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았었다. 그러다가 결국 미국에 와서 영어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서는 어색한 짧은 질문인 “And you?”는 빼고, “Fine.” 또는 “Good.”라고 대답했다. 그리고 더 이상 대화를 하지 않았다. 그런데, 에임스에 와서 자꾸 말을 걸고 대화를 하려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새로운 습관이 생겼다. 사실 정상적인 습관이라고 말하는 것이 맞다. 나에게 먼저 인사를 전하는 사람에게, “Good” 대답하고, 꼭 다시 물어본다. “How are you? 그리고 그 사람이 뭐라고 대답하는지 기다린다. 그러다가 대화가 조금 길어지기도 한다. 서로 소통한다는 것이 얼마나 사람을 따뜻하게 만드는 일인지 알 수 있게 되었다. 

 

한 번은 에임스반석교회가 예배당을 사용하는 미국 교회의 나이 지긋하신 성도님께, “How are you?”라고 인사를 전했다. 의외의 대답을 하셨다. “I am here!” 힘 있게 대답하시면서 내 어깨를 두드리셨다. 자신이 건강하게 교회에 나와서 예배를 드렸다는 자신감과 기쁨의 대답이었다. 사람의 대답을 듣는 것, 사람에게 무엇이든 내 마음을 전하는 것, 짧은 소통의 기회이지만 잘 듣고, 잘 말하는 것은 관계에 있어서 무척 중요한 일임을 깨닫는다.

 

물론 내가 영어를 잘하는 사람은 결코 아니다. 나는 주요 언어: 한국어라는 청빙 광고의 문구를 보고 지원을 결심했을 정도로 영어랑 친하지 않다. 하지만 한 마디라도 나와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 중 어떤 사람은 조금 더 이야기의 시간을 가졌으면 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모든 사람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미국 사람들이 아주 천천히 말하는 나의 영어를 잘 들어준다. 가끔 아내랑 딸은 나보고 조금 더 빨리 말하라고 하지만, 빨리 말할 수 없는 것이 나의 실력이다. 하지만 천천히 그렇게 소통을 하면서 살고 있다. 그리고 다시 강조하지만 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상대는 나에게 말할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고, 무엇인가를 지금 말하고 있다. 

 

반응형
SMALL
Comments